논리로 푸는 사주명리학2. 목차

제1부 천간지지의 개요 / 29
 제1장 천간지지(天干地支) 개요 / 37
  제1절 십간십이지와 음양 / 39
  제2절 간지의 결합과 상징체계 / 45

제2부 논리로 푸는 천간론(天干論) / 57
 제1장 10개의 천간(天干), 십간의 이론체계 성립 원리 / 63
  제1절 십간의 일반 개념과 물상(物象) 개념 / 65
  제2절 십간의 물상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 / 79

 제2장 천간의 합, 간합론(干合論) / 89
  제1절 천간(天干) 합(合)의 개요 / 93
  제2절 간합론에 대한 문헌의 기록과 제(諸) 학설 / 97
  제3절 간합론(干合論)의 성립에 대한 재해석 / 107
  제4절 합화(合化) 오행의 순차(順次) / 121

 제3장 십간(十干)의 상생상극론(相生相剋論) / 127
  제1절 십간의 생(生) 운동과 극(剋) 운동 / 129
  제2절 십간의 상생상극론(相生相剋論)에 대한 재해석 / 135

 제4장 천간 흐름의 새로운 메커니즘 / 141
  제1절 오행 흐름의 메커니즘 분석 / 145
  제2절 십간의 생극(生剋) 운동 분석 / 155
  제3절 십간 흐름의 새로운 메커니즘 / 165

 제5장 명리적 적용 사례 분석 / 179
  제1절 己土濁壬의 사주 분석 / 181
  제2절 희신(喜神)과 기신(忌神)의 적용 예 / 185

제3부 논리로 푸는 지지론(地支論) / 189
 제1장 십이지(十二支)와 12동물 / 195
  제1절 십이지의 일반적 개념과 특성 / 197
  제2절 전통적 의미의 십이지와 12동물 / 207
  제3절 십이지(十二支)와 12동물의 배속 원리 / 215

 제2장 陰ㆍ陽ㆍ中間子로 이루어진 지지(地支) 사행(四行) / 245
  제1절 중간자 「土」의 보조적 작용으로 형화 된 십이지 / 247
  제2절 지지(地支)의 사행(四行) 배속 / 251

 제3장 지장간(支藏干)의 성립 원리 / 257
  제1절 지장간(支藏干)의 개요와 문헌의 기록 / 261
  제2절 논리로 푸는 지장간의 성립 원리 / 271
  제3절 지장간의 ‘음ㆍ양ㆍ중’ 배속 원리 / 289
  제4절 지장간 戊己 土의 특별한 역할과 지장간 배속 / 309

 제4장 지지(地支)의 합(合) / 327
  제1절 지지(地支)의 변화와 합(合)의 종류 / 331
  제2절 동일한 오행의 모임 방합(方合)의 성립 원리 / 337
  제3절 삼합(三合) / 347
  제4절 반쪽짜리 삼합, 반합(半合) / 369
  제5절 강력하지만 변화되지 않는 합, 육합(六合) / 377

 제5장 지지 사행의 대립, 상충(相沖)의 성립 원리 / 383
  제1절 상충론(相沖論)의 개요와 문헌의 기록 / 385
  제2절 상충론(相沖論)에 대한 속설과 성립 조건 / 393
  제3절 논리로 푸는 상충(相沖)의 성립 원리 / 401

 제6장 상형(相刑)의 성립 원리 / 419
  제1절 상형론(相刑論)의 개요와 문헌의 기록 / 421
  제2절 논리로 푸는 상형(相刑)의 원리 / 431
  제3절 형(刑)의 적용 방법 및 사례 / 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