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쇼핑의 시작, 풍수백화점에서!

본문 바로가기
0
쇼핑몰 전체검색
메인으로

심룡점혈최명우
형기풍수247내용요약
7운및8운애성반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개, 추가옵션 개

27,000원 0원 0%
전화문의 010-6291-1120
원산지 국산
상품코드 1201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0원

지금 보고계신 상품과 관련된 상품

  • 상품정보

    상품 상세설명

    새 페이지 1

    13cmx18cmx2cm

    [심룡점혈]은 형기풍수에 관한 엑기스 240여 가지 내용을 요약하고

    7운 애성반, 8운 애성반 수록한 책이다. 총351페이지

     

    저자 최명우

    출판사 서평

    풍수서적은 汗牛充棟(한우충동)할 정도로 많아 평생 동안 읽어도 시간적

    한계가 있을 것이며, 설령 모든 책을 읽어 볼지라도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이에 필자가 그동안 淸溪(청계) 盧載九(노재구:1909~2008) 사부님에게 배우고

    현장에서 體得(체득)한 形氣風水(형기풍수)의 원리와 이치를 현대인의 감각에

    맞추어 이해하기 쉽도록 본서에 표현하였다.

    다만 의미 전달에 초점을 둔 나머지 거친 표현이나 내용의 순서상 뒤섞인

    難稿(난고)에 대해 海量(해량)이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을 보신 분들은 진정한

    明師가 되기를 바란다.

     

    목차

    서문

    西山大師의 선시禪詩

    001 風水地理五科(오과)002 이란?
    003 龍長穴拙(용장혈졸)004 行止(행지)
    005 石脈(석맥)의 剝換(박환)006 衝起樂宮無價寶(충기낙궁무가보)
    007 左右裁穴法(좌우재혈법)008 上下裁穴法(상하재혈법)
    009 穴場의 범위를 볼 때에010 풍수지리 공부법
    011 天作人作012 裁穴(재혈)은 정확성이 중요하다
    013 脣氈(순전)의 入首(입수) 차이014 脣氈(순전)이 필요한 진짜 이유는?
    015 來龍016 은 제일 싼 제품이 좋다
    017 山地龍平地龍의 차이018 풍수 공부하는 방법
    019 전체와 부분020 석물은 床石(상석) 하나면 충분하다
    021 床石은 밥상이고 封墳은지붕이다022 잔디가 죽는 이유?
    023 案山이 경사지면 明堂이아니다024 도심지에서의
    025 砂水有情無情026 을 모르면 줄을 퉁기지 마라
    027 形局論은 몰라도 된다028 최근의 사설 공원묘지
    029 來龍玄空風水四局과의 관계030 을 보는 첫 번째 사항
    031 望氣法(망기법) : 비석보고 길흉판단법032 天機漏泄(천기누설)하면?
    033 來龍은 1-2절만 보면 된다034 觀相玄空風水와 같은 이치이다
    035 裁穴(재혈)은 핵심을 찔러야 한다036 형기이론은 암기가 아니고 이해다
    037 今時發福(금시발복) : 물이 가깝다038 理氣無用論(이기무용론)에 대해!!!
    039 入首에서 裁穴까지의 040 用事 전에 穿壙(천광) 작업
    041 消骨(소골)이 되는 이유?042 소골된 경우의 이장법
    043 破墓地(파묘지)에 묘를 쓰면?044 來龍發福의 속도
    045 사력토는 물이 스며든다046 풍수지리에서의 등산 요령
    047 假花(가화)를 조심하라048 明堂土客土(객토)이다
    049 변화의 이치050 를 측정한다는 도구는?
    051 風水地理의 3대 요소052 內功(내공)이 깊으면 道士이다
    053 양서 소개054 좋은 영화
    055 來龍動靜056 騎龍穴(기룡혈 : 말 안장혈)
    057 案山에 너무 현혹되지 마라058 內壙(내광) 면적
    059 실력자 한 사람이면 충분하다060 風水는 종교? 미신?
    061 전망대는 吉地가 아니다062 봉분과 건물의 높이
    063 秘法(비법)에 너무 얽매이지 마라064 玉帶砂(옥대사)를 놓치기 쉽다
    065 橫龍入首(횡룡입수)066 다지(회-) 방법
    067 068 遺骨(유골)의 유무
    069 呼衝殺(호충살)070 산줄기와 의 차이
    071 둘레석의 부작용072 물과 發福기간
    073 형질이 인위적으로 바뀐 땅의 길흉?074 봉분과 묘의 위치가 다른 경우
    075 牛角砂(우각사)와 蟬翼砂(선익사)076 換天心(환천심)과 비석
    077 학문을 배우는 데는 조건이 없다078 古塚(고총)을 보면?
    079 裁穴(재혈)080 봉분만 틀어주면 좌향이 바뀔까?
    081 合局이 되도록 억지로 坐向을 바꾸면?082 을 알아야 한다
    083 水口砂084 吐舌(토설)과 평지룡
    085 凶地保魄之地小明堂大明堂086 空亡論의 적용
    087 의 명당088 照天蠟燭(조천랍촉)
    089 눈〔眼力〕이 중요090 의 고저에 따른 빈도?
    091 脣氈(순전)의 모양은 치마처럼092 생일케익을 3번 자르기로 8조각?
    093 案山이 중요한 이유?094 鬼星(귀성)
    095 水口가 중요한 이유?096 千里行龍 一席之地
    097 朝山(조산)이 없으면?098 祖宗山穴場의 비유
    099 마지막 來龍이 중요하다100
    101 102 脣氈(순전) 아래는?
    103 [山星5]104 동양의 五術(오술)이란?
    105 지나친 正直(정직)=바보106 圓暈(원훈)
    107 砂格(사격)보는 법108 실력의 고저
    109 좌향을 측정할 때 주의점110 족보의 좌향은 믿을 수 없다
    111 窩鉗(와겸)에 貼身砂(첩신사)112 어설픈 실력으로 用事(용사)하면
    113 脣氈(순전)에 암석은?114 평지룡에서 혈 찾기
    115 양택의 좌향은 3회 측정116 羅經(나경)은 3개
    117 用事 전에 미리 穿壙(천광) 작업118 穴深(혈심) : 혈의 깊이
    119 內脣氈(내순전)이란?120 風水는 조화의 학술
    121 書不盡言(서부진언) 言不盡意(언부진의)122 蟬翼(선익)은 필수조건인가?
    123 안산과 조산124 無脈地(무맥지)에 巖石(암석)은?
    125 지표수와 지하수126 入首(입수)와 結咽(결인)
    127 案山(안산)의 기울기128 巖石(암석)의 近衝(근충)
    129 自起案(자기안)130 學問(학문)은 질문이다
    131 明堂無價寶(무가보)132 너에게 묻는다
    133 巖石으로 된 入首134 砂礫(사력) 土質(토질)
    135 사망시기와 이장시기의 차이136 양택에 粘法(점법) 활용
    137 穴場에서 설기된 방위에 따른 길흉?138 鬼星(귀성)
    139 登山(등산)과 踏山(답산)140 南向만이 좋은 것이 아니다
    141 窩鉗(와겸)에 肉地(육지)는 필수142 동네 인부는 袖手傍觀(수수방관)
    143 衣履之葬(의리지장)144 빨리와 멀리
    145 穴場墓域(묘역)의 구분146 私慾(사욕)을 부리지 마라
    147 先入見(선입견)의 실수148 밥풀(떼기)명당
    149 大局大明堂이 있다150 動土(동토)란?
    151 水口(수구)의 의미152 來龍
    153 154 來龍
    155 不易(불역)과 變易(변역)156 龍長穴拙(용장혈졸)이란?
    157 莊子(장자)158 因形察氣(인형찰기)
    159 (명)과 (운)160 納氣(납기)와 乘氣(승기)의 차이점
    161 剝換(박환)이란?162 葫蘆水口(호로수구)
    163 마디〔〕는 변화이며 힘이다164 과 의자의 비유
    165 陰陽(음양)의 調和(조화)166 砂格有情
    167 平地龍山地龍의 차이168 水纏玄武(수전현무)
    169 의 발복 차이170 가까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171 가까이 있는 것으로부터 배운다172 의 차이
    173 形勢形氣의 차이점174 風水本末
    175 地運法(지운법)176 陰陽은 경쟁관계가 아니다
    177 無案對(무안대)는 독불장군178 花心穴
    179 水口의 중첩180 藏風(장풍)과 得水(득수)
    181 造福(조복)182 看山(간산)과 踏山(답산)의 차이점
    183 穴土184 의 모양
    185 觸類而長(촉류이장)186 形局論(형국론)
    187 양서 한 권 적극 추천188 明堂案對
    189 中心重心190 結咽(결인)과 水口(수구)
    191 空亡이라면?192 有處無求(유처무구)
    193 풍수지리서의 문제점194 信耳不如信眼(신이불여신안)
    195 五行196 名師明師의 차이
    197 相剋(상극)의 장단점198 過峽(과협)의 의미
    199 중국과 우리나라의 地勢(지세)200
    201 物形論은 보조수단202 過峽(과협)과 結咽(결인)의 차이
    203 穴場은 윤곽이 분명하여야 한다204 水口보는 법
    205 山水同去(산수동거)206 음택과 양택의 영향력 차이
    207 蝦鬚水(하수수)와 蟹眼水(해안수)208 穴場(혈장)의 구성 요소
    209 유림파210 初敗之地(초패지지)
    211 模倣(모방)과 創造(창조)212 弟子(제자)에도 단계가 있다
    213 龍穴砂水의 역할과 비중214 의 종류-(성)·(원)·(당)
    215 보기 좋은 案山을 나무가 가리면?216 明堂分金
    217 사다리꼴 모양의 (관)218 初葬(초장)시에 脫棺(탈관) 여부
    219 靜中動(정중동)220 來龍의 차이점
    221 曜星(요성)의 明暗222 坐向에 따른 재물, 인정
    223 巖石(암석)과 坐向224 샘물의 위력
    225 은 주인공226 용어 설명
    227 《道德經(도덕경)》228 德不孤必有隣=
    229 巧密緊拱(교밀긴공)230 橫龍(횡룡)에 蟬翼砂(선익사)
    231 太極暈(태극훈)의 이치232 脣氈來龍의 차이점
    233 案山(안산) 空亡234 (사)보는 방법
    235 大明堂裁穴(재혈)이 어렵다236 天盤縫針(천반봉침)의 오류 1
    237 天盤縫針(천반봉침)의 오류 2238 穿壙(천광)의 면적
    239 九星의 명칭240 來龍은 1~2절만 보면 된다
    241 모양은 결인, 내용은 속기242 누가 陰宅風水를 배워야 하는가?
    243 怪穴(괴혈)의 구분244 王陵(왕릉)과 胎室(태실) 차이
    245 자신의 실력에 대한 성찰246 龍尾의 절단
    247 裁穴(재혈)의 원리

    ? 7운 애성반
    ? 8운 애성반

     

     

최근 본 상품

없음

1:1문의

카카오톡상담

원격지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