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쇼핑의 시작, 풍수백화점에서!

본문 바로가기
0
쇼핑몰 전체검색
메인으로

풍수백화점

풍수백화점

공지사항

나경의 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17,826회 작성일 2004-09-10[07:59]

본문

2. 나경의 구조

나경의 원리와 근원은 태극(太極)에 있고 그 구조와 바탕은 낙서(洛書)의 후천도(後天圖)에 두고 있다. 이 태극이 분화하여 양의(兩儀)되고 이것이 발전하여 사상(四象)이 되고, 또 발전하여 팔괘(八卦)가 되었다. 팔괘를 바탕으로 24방위로 나눈 것이 나경의 기본적 구조이다.

나경의 바닥에 선이 그어져 있는데 지반정침(地盤正針)의 선은 진(秦)과 한(漢)나라 때 황석공(黃石公)이 처음으로 선천팔괘(先天八卦)를 활용 12지지(地支)에 따라 12개 선을 그었고, 여기에 한(漢)나라 때 적송자(赤松子)가 사유(四維)의 4개와 천간(天干)의 8개를 배치하여 24개의 선(區域)을 확정했다. 다음에 당(唐)나라 양균송(楊筠松)이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쌍산(雙山)을 봉합(縫合)하여 천반봉침(天盤縫針)의 24개 선(方位)을, 송(宋)나라 때 뇌문준(賴文俊)이 별자리의 위치에 따라 인반중침(人盤中針)의 24선(方位)을 만들어 상(天), 중(人), 하(地)의 3위치에 배치하였다. 지반(地盤) ․ 인반(人盤) ․ 천반(天盤)의 삼반(三盤)을 기준으로 땅속의 기가 흐르는 72개 선, 하늘의 기가 땅속으로 들어오는 60개의 선, 24방위로 5개씩 쪼갠 120개 분금(分金), 지구의 360°로 구성 돼 있다. 나경을 이용하여 묘나 주택의 방위 ․ 산의 방위 ․ 물의 방위를 측정하고 지기(地氣)가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는가를 측정하여 묘지와 주택의 길흉을 변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풍수에서 필수 도구이다. 나경만 제대로 활용할 줄 알고 산세(山勢)와 수세(水勢)를 볼 줄 알면 제대로 된 풍수가라고 말할 수 있다.

나경(羅經)은 ‘포라만상 경륜천지(包羅萬象 經綸天地)’에서 온 말로, ‘위로는 천지간에 나열 돼 있는 모든 별들을 헤아리고, 아래로는 산천의 솟아남과 물의 흐르는 형상의 기운을 음양오행의 이치로 살핀다.’는 말인데 여기에서 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온 것이다. 나경을 패철(佩鐵)이라고도 한다. 풍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경은 9층으로 돼 있다. 그리고 4층, 6층, 8층에는 24개의 방위가 표시돼 있다.

(그림) 9층 나경도

목록으로

최근 본 상품

없음

1:1문의

카카오톡상담

원격지원

TOP